댕냥이 건강지식

유기견 발견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mungnyangstory 2023. 9. 4. 09:55


불과 몇 년 전에 비해
확연하게 줄긴했지만
아직까지 길을 걷다 보면
보호자를 잃어버려
길을 배회하고 있는
유기견을 종종 볼 수 있는데요.

좋은 마음을 가지고
보호자를 찾아주고 싶지만
뜻밖의 오해를 사게 될까
선뜻 보호자를 찾아주기란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만
생활하던 강아지가
야외생활을 하게 되면
적응하지 못해
금방 건강이 나빠지기도 해요

따라서 오늘은
유기견 발견하게 되었을 때
보호자를 찾아주는 절차와
유기견의 보호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
유기견을 입양하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반려견을 잃어버렸을 때

만약 산책 중 반려견을
잃어버리게 되었다면
우리 강아지가 큰일을 겪기 전에
찾아야해요

먼저 다산 콜센터의 전화번호인
120으로 전화하여 유기견 신고를 하거나,
1577-0954 동물보호 센터에
유기견 신고를 해줘야합니다


그다음 강아지를 잃어버린 시점부터
주변을 탐문 한 후

강아지가 자주 다닐만한 길을 따라가면서
강아지의 흔적을 찾아야해요

강아지를 잃어버리게 되면
심적 동요로 판단이 흐려질 수 있으니
최대한 침착하게
강아지를 찾을 수 있는 전단을 만들어
탐문을 하거나 sns에 글을 올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합니다.

 


- 유기견 발견 시 보호자를 찾는 방법은?

만약 유기견으로 보이는 강아지를
길에서 마주친다면
강아지가 긴장을 풀 수 있도록
먹을 것을 주면서 유도하거나
천천히 다가가는 것이 좋아요

가까이 다가간 다음
강아지 목에 있는 인식 표나
이름을 확인 한 후

위와 마찬가지로 신고를
통해 보호자 찾는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보호자가 유기견을 찾아가지 않는다면
10일 이후 보호자의 권리가
사라지게 됩니다

보호자의 권리가 사라지게 된
강아지는 유기견 보호소로 이동되는데,
만약 유기견 보호소에서
강아지가 병에 걸리는 경우
안락사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기견을
임의로 입양하려는 사람들이 종종 있어요

임의로 유기견을 기르게 되면
최대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집니다

만약 유기견 발견 시 유기견을
입양하기 위해서는
정식적인 절차를 거쳐야 해요



- 유기견 발견 시 입양 방법은?

먼저 발견한 유기견을 전산등록한 후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관할 시청에
방문하여 해당 사실에 대한 상황 설명을
자세히 한 다음 임시로 보호할 수 있어요

만약 정상적인 절차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해당 보호소에 문의를 한 후
입양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 과정에서 기존 보호자가 나타난다면
무리하게 강아지를 입양하려고 하기보다
강아지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보호자에게 전해주세요



이렇게 오늘은 잃어버린 반려견을
찾는 방법과, 유기견 발견 시
보호자를 찾는 방법과

유기견을 입양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내가 조금만 관심을 가진다면
앞으로 유기견의 수는
더 줄어들 수 있어요

따라서 유기견 발견했을 때
그냥 지나가기보다
보호자를 찾아주어
유기견과 보호자 모두 다
행복을 되찾게 도와주시길 바래요